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

정상혈압 수치를 확인해보자.

연령별 정상혈압수치를 알아보자.

소리없이 찾아오는 살인마! 고혈압! 요즘 잘못된 생활 및 식습관으로 혈압이 정상이 아닌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불과 몇년전까지만 해도, 고혈압은 40~50대의 어르신들에게 많이 나타났었지만, 지금은 20~30대에도 많다고 하니 본인의 혈압은 꼭 주기적으로 체크를 해 줘야 합니다. 혈압측정은 가까운 종합병원에 가면 따로 비용을 내지 않더라도 자가 측정이 가능합니다.


그럼 과연 혈압의 정상 수치는 얼마일까 알아보겠습니다. 



정상 혈압수치는 수축기 혈압이 120미만, 확장기(이완기)혈압이 80미만일 때 입니다수축기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면 압력이 오르고, 심장에서 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때의 혈압(혈압측정기가 팔뚝을 꽉 조였을때의 혈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완기 혈압이란 심장이 확장되면서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혈압측정기가 조인 팔뚝을 서서히 풀때의 혈압)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이라고 할 수 있는 혈압의 수치는 120/80 (수축/이완) 이하로 고혈압은 140/90 이상이고, 저혈압은 90/60 이하 일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연령별 혈압 정상범위는 아래의 표를 보고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나이가 30~35 이기때문에 123/77이 정상수치인데, 수축기 혈압이 130이 넘으니 전고혈압군에 속하겠네요. 혈압은 측정할 때마다 다르게 나올 수도 있는데 긴장과 불안도 혈압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식사, 커피, 흡연 등도 측정에 영향을 준다고 하니 한번의 측정결과로 본인의 혈압수치를 단정짓지 마시고,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서  제대로 된 혈압 수치를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짜게 먹는 식습관으로 인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저혈압보다는 고혈압이 많다고 해요. 그래서 고혈압에 좋은 음식과 식습관 개선만이 본인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젤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