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카페인 섭취량은 얼마나 될까?
회사를 다니고 부터 커피를 마시는 횟수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아침에 커피한잔을 마시지 않으면 잠에서 깨지 않는 것 같아 아침 밥은 안먹어도 커피는 챙겨먹게 되는데요. 얼마전 뉴스에서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식품, 음료 비용으로 가장 많이 지출 하는 것이 커피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과연 이렇게 많이 마시는 커피를 하루에 몇잔을 마시는 것이 건강상 좋은 것인지 조사해 보았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정한 우리나라 국민의 카페인 하루 섭취기준은 성인 400mg 이하, 임산부 300mg 이하, 어린이 · 청소년 2.5mg/kg(체중) 이하입니다. 식약처의 조사에 의하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커피 종류에 따른 1회 제공량당 카페인 평균 함유량은 액상커피(캔커피)가 84.41mg, 조제커피(커피믹스)가 47.51mg, 캡슐커피가 73.59mg 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식약처가 조사한 수치가 위의 그림과 괴리가 있는 이유는 대표 하나를 뽑아서 측정을 했냐? 몇개를 뽑아서 평균을 낸 것이냐? 의 차이기 때문에 그렇다 정도로 참고만 하면 되겠습니다.
커피전문점 별로 아메리카노의 카페인 함량을 조사한 표입니다. 가격과 건강을 다 챙기려고하니 이디아 커피가 눈에 들어옵니다. 커피전문점에서 파는 커피종류에 따라 카페인 함량을 평균을 내면 카푸치노 137.30mg, 아메리카노 124.99mg, 카라멜마끼야또 118.42mg, 카페라떼 111.55mg 라고 합니다.
이 조사결과를 우리나라 성인의 카페인 하루 섭취기준과 비교하면, 액상커피 4.8캔, 조제커피 8.3봉, 캡슐커피 5.4잔, 커피전문점 커피 3.3잔이 하루 섭취권장량 해당하는 양이 됩니다. 청소년의 경우에는 액상커피 1.5캔, 조제커피 2.6봉, 캡슐커피 1.7잔, 커피전문점 커피 1잔이 하루 섭취권장량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카페인을 기준으로 산출된 수치로 커피를 마심으로 인해 커피 속 당이나 지방과 같은 다른 성분을 지나치게 섭취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커피를 통한 당류 섭취를 조심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주식을 통한 당 섭취량보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그 중에서 커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습니다.
카페인, 당류 등 커피에 들어 있는 성분을 고려하는 것 이외에도 커피를 마실 때의 피해야 할 나쁜 습관이이 하나 있습니다. 커피믹스를 마실 때 커피믹스 봉지를 스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커피믹스 봉지는 눈으로 보았을 때는 한 겹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산소, 수분, 빛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 2~3겹 이상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알루미늄박 등을 접착시켜 만듭니다. 커피믹스 봉지 표면에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은 커피믹스 봉지를 뜯을 때 벗겨지기 쉽습니다. 이 상태에서 커피믹스 봉지로 커피를 저으면 벗겨진 필름을 통해 봉지를 인쇄할 때 사용한 성분이 용출되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인터넷 느릴 때 해결방법 (0) | 2017.12.21 |
---|---|
토렌트 마그넷 사용방법 (0) | 2017.12.20 |
초진비, 야간할증비 과금기준은? (0) | 2017.12.19 |
정상혈압 수치를 확인해보자. (0) | 2017.12.17 |